전국경제인연합회가 발표한 '2021년 실적 및 2022년 전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40.8%는 폐업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 탓에 광주 골목상권 자영업자의 줄폐업이 현실화 됐다.
장기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와 소비심리 위축으로 진입 장벽이 낮은 외식 분야는 직격탄을 맞았다.
20일 광주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 2년 차를 겪은 지난해 방역 조치로 정상적인 영업을 못 한 업소 1290곳이 폐업했다.
해당 업소는 영업시간과 시설 인원 등의 제한을 받은 일반음식점, 노래연습장, 실내 체력단련장, 목욕장, 피시방, 단란주점 등 6개 업종이다.
창업이 상대적으로 쉬운 일반음식점의 비중이 84.7%(1093곳)로 나머지 5개 업종을 압도했다.
폐업한 음식점은 자치구별로 금남·충장로가 대표 상권인 동구 133곳, 상무지구가 자리한 서구는 294곳이었다.
남구는 210곳, 전남대학교가 소재한 북구는 31곳, 첨단·수완지구가 조성된 광산구는 425곳이었다.
지난해 기존 가게를 이어받지 않고 신규로 창업한 일반음식점은 동구 227곳, 서구 309곳, 남구 220곳, 북구 447곳, 광산구 503곳이다.
북구를 제외한 4개 자치구에서 작년 한 해 새롭게 문을 열었던 수만큼 음식점이 문을 닫았다.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에는 광주에서 6개 업종 합산 1368곳의 업소가 폐업 신고를 했다. 이때도 일반음식점이 상당 비중인 81.1%(1109곳)를 차지했다.
코로나19 확산을 기점으로 지역 자영업자의 폐업률은 2019년 말 이후 1%포인트가량 감소했지만, 창업률은 약 0.5%포인트 증가했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는 자영업자가 비용 부담 때문에 폐업조차 미루었지만 진입 장벽이 낮은 음식점 등 전통 서비스업은 창업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코로나19 이후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 겪은 어려움은 상가 공실률에서도 드러난다.
한국부동산원의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4분기 광주에서 건물 규모 2층 이하에 연면적 330㎡ 이하인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은 4.9%였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같은 분기 2.4%에서 2020년 6.3%로 증가한 이후 더딘 회복세를 보인다.
상권별로는 북구 전남대 12.8%, 광산구 송정동지구 12.3%, 동구 금남·충장로 7% 등 원도심의 공실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비대면 경제 확산 등 코로나19가 불러온 변화상은 업무시설(오피스)의 수요 증가를 이끌기도 했다.
광주지역 업무시설 공실률은 4분기 기준 2019년 19.4%, 이듬해 18%, 지난해 16.8% 등 늘어나는 빈 상가와 달리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비대면 업무가 늘면서 업무시설의 공실률이 줄어든 현상은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 공통으로 나타난 현상"이라며 "자영업자의 터전인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은 이전 수준으로 돌아가기가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