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유튜버 쯔양이 한국화학연구원 유튜브 '맛있는 화학'에 출연해 삼겹살을 먹고 있다.[한국화학연구원 제공] |
인기 유튜버 쯔양이 한국화학연구원 유튜브 '맛있는 화학'에 출연해 삼겹살을 먹고 있다.[한국화학연구원 제공]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먹방 유튜버들 앞으로 큰일나겠네.” 먹방 영상과 ASMR 등을 자동으로 차단해주는 기술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KAIST 이성주 교수 연구팀은 폭식증을 부르는 식이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을 위해 모바일과 PC에서 먹방 ASMR 등을 차단하는 시스템(FoodCensor)을 개발했다.
최근 SNS와 다양한 컴퓨터 플랫폼에 각종 음식 관련 콘텐츠가 제공되며 인기를 얻고 있다. 하지만 누군가에게는 먹는 행위가 자연스럽겠지만 식이장애를 앓는 사람들은 건강하지 않은 식습관의 매혹에 매일 지속해서 고군분투한다.
이 소트트웨어는 인간 심리학의 두 체계 이론으로 작동한다. 개인컴퓨터나 핸드폰에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차단되는 형태다.
음식관련 단어를 한국어와 영어로 수집해 4만 단어 이상의 음식 이름, 맛있다, 식사, 등 영상물 제목, 테그, 설명에 관련 단어가 나오면 자동 차단된다.
이성주 교수는 “1 이론은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이것을 막기 위해, 음식물 관련 영상 모두 가려준다”면서 “2 이론은 생각하고 결정한다인데 음식 관련물을 검색하려는 경우 경고문을 보내주고 그래도 꼭 검색해야 한다면 이유를 적어야만 검색결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유튜브 앱에서의 실시간 음식 콘텐츠 검열 및 개입 예시.[KAIST 제공] |
연구팀은 22명의 식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3주간의 사용자 스터디를 진행해 시스템 평가를 진행했다. 실험 집단에서 유튜브에서 음식 콘텐츠에 대한 노출 및 소비의 유의미한 감소와, 이러한 감소가 유튜브의 콘텐츠 추천 알고리즘에 영향을 미침을 관찰했다. 실험 집단 참가자들은 이 시스템이 음식 관련 콘텐츠를 시청하는 자동 반응을 억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사용자 평가는 제안된 시스템이 일상생활에서 식이장애 환자들의 음식에 대한 강박을 완화하고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성주 교수는 “사용자가 디지털 콘텐츠를 건강하게 소비하는 방법을 지원하는 적응형 개입의 설계 방향과 더불어, 단순히 콘텐츠를 검열하는 것 이상의 사용자의 의도적인 행동 변화를 촉진하는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관리 방법이 될 것”이라면서 “음식 콘텐츠뿐 아니라, 폭력물이나 선정적인 콘텐츠, 또는 다양한 주제별로 적용할 수 있어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nbgkoo@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