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개혁신당이 결국 갈라서고 말았다. 이낙연 개혁신당 공동대표는 20일 “크나큰 실망을 드렸다”며 이준석 공동대표와의 결별을 공식 선언했다. 이준석 대표 역시 이날 “감당할 수 없는 일을 관리할 수 있다고 과신했다”며 결별 사실을 확인했다. 지난 설 연휴 첫날 극적인 통합을 발표했지만 불과 11일 만에 파국을 맞은 것이다. 정치 철학과 시대정신을 공유하지 못한 채 정치공학적 셈법만으로 이뤄진 정치 세력간 합종연횡의 한계를 극명하게 드러낸 셈이다.
총선을 앞두고 이른바 제3지대 세력이 속속 등장했고, 이들간 통합이 주목받았던 것은 그만큼 거는 기대가 컸기 때문이다. 실제 우리 정치는 무능과 퇴보의 길을 끝없이 걷는 중이다. 특히 지난 대선으로 보수와 진보 두 진영간 대립은 돌이킬 수 없을 만큼 깊어졌다. 의회 권력을 장악한 거대 야당 민주당은 입법 폭주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그 실력을 행사하며 정부 여당과 대립했다. 소수 여당과 윤석열 정부는 거부권 카드로 이에 팽팽히 맞섰다. 이 과정에 대화와 타협은 끼어들 여지는 없었다. 민생은 외면한 채 정치적 이해만 난무하는 이러한 거대 양당 정치에 환멸을 느낀 무당층의 빠른 증가는 필연적 결과였다. 그 돌파구가 될 것으로 여겼던 대안 정치세력의 단일화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는 작지 않았던 게 사실이다.
이들이 갈라선 이유가 선거지휘권 문제라고 하니 잠시나마 새로운 정치세력에 눈길을 줬던 유권자들의 심경은 더 참담하다. 말이 선거지휘권이지 실제로는 당권을 놓고 벌인 첨예한 대립이 아닌가. 기존 양당 정치권의 기득권 다툼 행태와 조금도 다를 게 없다. 새로운 정치를 하겠다고 나섰지만 최소한의 마음가짐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입증한 꼴이 됐다.
따지고 보면 개혁신당의 파국은 애초 예정된 일이었다. 무당층이 유권자의 30%에 이르고 젊은층일수록 기존 정당에 대한 불신이 커 제3 정치세력이 자리를 잡을 여지는 비교적 충분했다. 하지만 신당 세력은 이를 흡수할 준비가 전혀 돼있지 않았다. ‘반윤석열, 반이재명’ 말고 이들에게 찾을 수 있는 공통점은 아무것도 없었다. 이념도, 철학도, 정책도 달랐고 심지어 지지기반조차 뿌리가 다른 곳에 있었다. 그저 눈 앞의 이익을 위한 ‘묻지마 통합’만 있었으니 이들의 결별은 시간의 문제였던 것이다.
이번 개혁신당 파동으로 국민들의 정치 불신은 더 깊어졌다. 아파트 투기지역에 떴다방이 몰리듯 선거철만 되면 정치적 이해만 쫓아 이합집산하는 행태를 언제까지 지켜만 볼 수는 없는 일이다. 개혁신당 각 세력은 물론 정치권 모두가 통렬히 반성하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