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rf, AP] |
[헤럴드경제=신동윤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침공 과정에서 러시아군이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것에 격분, 고수해온 ‘특수군사작전’이라는 용어를 버리고 전면전을 선언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벤 월러스 영국 국방부 장관은 전날 푸틴 대통령이 군사적 손실을 보충하기 위해 몇 주 내에 국가총동원령을 발표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푸틴 대통령이 전세계 나치들과의 전쟁 상태에 있으며 러시아인들에 대한 대규모 동원이 필요하다고 선언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다음 달 9일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전 기념일에 이러한 발표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은 2월 24일 침공을 개시하면서 우크라이나의 전력 무력화와 우크라이나 내 신나치주의자(극우민족주의 세력) 척결을 목표로 한 특수군사작전을 시작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러시아가 당초 몇 주 내에 끝내려고 했던 침공은 두 달 넘게 이어지고 있고 공세는 교착 상태에 놓여있다.
러시아군과 가까운 한 소식통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키예프) 공세 실패에 격분해있다”면서 “군인들은 지난 실패를 갚아주고자 하며 우크라이나 내에서 더 멀리 가고 싶어 한다”고 말했다.
텔레그래프는 군 수뇌부들이 푸틴 대통령에게 ‘특수작전’ 용어를 버리고 전쟁을 선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러시아가 전면전을 선포할 경우 계엄령과 대중 동원이 수반되는데, 이는 그동안 러시아가 피하려 해온 것들이다.
동원이 이뤄지면 예비군을 소집하고 징집기간 1년을 초과한 징집병들도 군대에 붙잡아 놓을 수 있지만, 이는 정치적으로 부담스러운 결정이다.
계엄령이 선포되면 러시아 국경을 걸어 잠그고 경제의 상당 부분을 국유화할 수 있는데, 이는 푸틴 대통령이 서방 제재 속에서도 가계와 기업에 재정지원을 하면서 겉으로나마 정상 상태를 유지하려 해온 것과 맞지 않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푸틴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니콜라이 파트루세프 안보위원회 서기는 최근 “기업가들이 시장 메커니즘에 빠져있다”고 비판하면서, 자급자족 경제가 필요하다고 말해 전시 체제로의 경제 이행을 공개적으로 촉구했다고 텔레그래프는 덧붙였다.
realbighead@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