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돌아서면 그리워지는…나쁜 남자 ‘아이다’”
3월 부산…전 세계 마지막 공연
‘숨은 영웅’들이 말하는 아이다…
‘터줏대감’ 이지영 연출
“성냥개비 수천개로 쌓은 탑 들고
몇 킬로를 걸어가야만 하는 작품”
문병권 안무감독
“감정·상상력·생각 부여하며 연습
열정이자 사랑이었어요”
오민영 음악감독
“모두 사랑해야 함께 할수있는 공연
끝나도 또 하고 싶은 미련한 사랑”
‘아이다’와 청춘을 함께한 이지영 연출·문병권 안무감독·오민영 음악감독(왼쪽부터). 박해묵 기자

20대 후반, 30대 초반에 시작해 어느덧 40대를 넘겼다. “스물 여덟부터 지금까지, 같이 나이를 먹었죠.” 2005년 초연 당시 문병권(43) 안무감독은 배우로 ‘아이다’ 무대에 처음 섰다. 그로부터 15년. “‘아이다’와 결혼했다고 할 정도로 인생에서 긴 시간을 보냈어요.” 그는 다섯 번의 시즌에서 두 번은 배우, 세 번은 안무감독으로 함께 하고 있다. 이지영(41) 연출과 오민영(40) 음악감독은 2010년 ‘아이다’에 합류했다.

전 세계에서 마지막 시즌을 공연 중인 ‘아이다’는 그 어느 해보다 치열하고 성실한 날들을 보내고 있다. 초연 이후 지금까지 옥주현 차지연 아이비 정선아와 같은 내로라하는 배우들이 거쳐갔고, 앙상블 배우였던 김소향을 주연 배우로 키워냈다. 무대 뒤엔 ‘숨은 영웅’들이 있었다. 해마다 ‘아이다’ 공연을 위해 투입되는 스태프는 170여명. 지난 15년, 다섯 번의 시즌을 거치는 동안 무려 800여 명의 스태프가 ‘아이다’의 영광을 함께 했다. 이지영 연출, 오민영 음악감독, 문병권 안무감독 역시 그 주인공이다. ‘아이다’ 공연이 한창인 서울 한남동 블루스퀘어에서 세 사람을 만났다.

▶ 제작진이 말하는 ‘아이다’…“버릴 게 없다”=‘아이다’는 등장부터 강렬했다. 주세페 베르디의 동명 오페라를 바탕으로 디즈니가 만들고, ‘팝의 전설’ 엘튼 존이 참여한 뮤지컬. 이들의 ‘이름값’보다 더 값진 결과물이 무대 위에 펼쳐졌다. 제작비는 무려 150억 원이 들었고, 그 위에서 스태프와 배우들은 완벽을 기하기 위해 “1000%의 에너지”(이지영)를 쏟아낸다. 완성된 무대는 국내외 수많은 작품에 영감과 아이디어를 줬다. ‘아이다’가 시작한 아이리스(카메라 조리개) 기법은 하나의 레퍼런스가 됐다.

제작진은 ‘아이다’엔 다른 작품들이 범접할 수 없는 ‘특별함’이 있다고 입을 모았다. 뮤지컬 역사에 길이 남을 무대 연출과 조명으로 빚어낸 ‘빛의 예술’, 군더더기 없는 음악과 딱 떨어지는 군무를 빼놓을 수 없다.

“20년 전 작품인데도 굉장히 미니멀하면서 세련되고, 효율적이면서 함축적이고, 기능적인 무대로서 드라마를 꽉 채우고 있어요. 무대를 보면 빈 공간처럼 느껴지는데 배우 몇 명이 등장해 꽉 채워줘요. 어떤 무대가 나오면 그걸로 끝이 아니에요. 그게 또 다른 무대로 변신하고, 유려하게 스토리가 흘러가죠.” (이지영)

한국 상륙 당시 이런 작품은 본 적이 없었다고 세 사람은 합창하듯 감탄했다. 900개의 고정 조명, 90대가 넘는 무빙 라이트가 만들어내는 ‘조명의 마법’은 뮤지컬 ‘아이다’가 가진 차별점이다. 미국에선 초연 당시 토니상 무대디자인, 조명디자인 상을 받았다.

“엘튼 존의 군더더기 없는 음악도 빼놓을 수 없어요.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고, 음악과 안무가 딱딱 떨어지도록 깔끔하게 만들었어요. ‘아이다’는 기본적인 음악 안무 대본이 잘 어우러졌어요. 군더더기가 많으면 지루해지는데, ‘아이다’엔 불필요한 장면이 하나도 없어요. 장면 전환을 위해 가장 손쉽게 쓰는 암전도 다섯 번 밖에 없어요.” (오민영)

잘 만들어진 음악과 스토리를 담은 화려한 칼군무는 ‘아이다‘의 또 다른 볼거리다. 국내 협력 안무가 생긴 후로 ‘아이다’의 군무는 또 한 차례 진화했다. 단지 움직임을 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드라마를 녹였다. “독보적인 춤 실력과 리더십으로 해외 안무가에게 직접 안무감독 자리를 제안받은”(이지영) 문 감독이 함께 쌓아온 공로다.

“같은 동작을 하더라도 의도를 생각하라고 이야기해요. 동작만 맞추는 것이 아니라 안무에도 감정이나 상상력, 생각을 부여하면서 연습하고 있어요.” (문병권)

“안무 연습할 때 보면, ‘각이 안 맞아’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눈!’, ‘눈!’. ‘지금 뭘 얘기하고 있어, 무슨 생각으로 하고 있어?’ 그렇게 말하더라고요. 좀 충격을 받았어요. 음악감독이나 연출이 하듯이 요구하더라고요.” (이지영) 문 감독은 ‘아이다’ 초연 당시 배우로 앙상블 상을 수상했고, 이번 그랜드 피날레 시즌에선 안무감독으로 앙상블 상을 가져왔다.

[신시컴퍼니 제공]

▶ 한국인 사로잡은 ‘스토리의 힘’…DNA가 당긴다= ‘아이다’가 한국에서 유난히 사랑받으며 공연을 이어갈 수 있었던 데에는 스토리가 가진 힘이 컸다. 이집트의 침략으로 볼모가 된 누비아의 공주 아이다와 이집트 장군 라다메스의 신화 속 사랑 이야기에선 우리 민족의 상처를 읽게 되기 때문이다.

“누비아 백성들의 역사는 우리의 역사와 흡사해요. 지배를 당했지만, 굴하지 않고 지지 않으려는 저항의식이 닮았어요. 절망하지 말고, 싸우러 나가자고 말하는 것이 마치 우리 민족의 이야기 같아요. DNA가 당기는 거죠.” (이지영)

“그런 스토리 때문에 배우들은 디렉션이 아닌데도 울고 불고 해요. 해외 연출들은 그걸 보면서 ‘너네는 왜 자꾸 우냐’고, ‘왜 그러냐’고 묻더라고요.” (오민영)

“조국에 대한 사랑을 우리가 더 진하게 받아들이는 거예요. 초연 땐 배우들이 너무 우니까 해외 연출이 조금 덜어내라고 했던 기억이 나요. 다른 나라에선 더 깊이 들어가라고 하는 장면을 우리는 덜자고 했던 거죠.” (문병권)

관객들이 몰입하며 눈시울을 붉히는 것도 이러한 지점이다. 시공을 뛰어 넘어 2020년의 한국에서 펼쳐지는 누비아 공주의 삶은 관객들을 매료했다.

▶ “열정과 사랑, 뒤돌아서면 그리운 ‘나쁜 남자’ 같은 ‘아이다’”=현재 진행 중인 서울 공연에 이어 오는 3월 시작하는 부산 공연이 마무리되면 ‘아이다’는 전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다. 떠나는 ‘아이다’를 향한 세 사람의 눈빛엔 아쉬움과 그리움이 교차했다. 이들에게 ‘아이다’는 풋풋한 ‘첫사랑’이기도 하고, 오랜 시간 서로의 희노애락을 모두 봐버린 중년 부부의 ‘애증’ 같기도 했다. “너무 좋아하는데 끝나고 나면 뒤도 돌아볼 것 같지 않아요. 그러면서도 다시 그리워지는 나쁜 남자 같아요. 우릴 너무나 힘들게 하는 ‘이놈의 아이다’인 거죠.” (이지영)

“제게 ‘아이다’는 열정과 사랑이었어요. ‘아이다’를 하면서 철이 든 것 같아요. 스태프로 누군가를 가르쳐본 것도 처음이었고, 배우할 때는 몰랐던 것을 알게 됐고요. 학생으로 입학했다 선생님으로 졸업하는 기분이에요.” (문병권)

“돌이켜보면 ‘아이다’는 ‘이 세상의 모든 이야기는 사랑’이라는 오프닝 가사처럼, 작품의 메시지도 그렇지만 배우, 스태프 모두가 사랑하는 마음이 있어야 함께 할 수 있는 공연이었어요. 모든 에너지를 쏟아내면 조금만 건드려도 날이 서게 돼요. 무조건 지칠 수 밖에 없는 작품이었어요. 그걸 사랑으로 극복하지 않으면 지속할 수 없는 거죠. 제게 ‘아이다’는 끝내면 그리워지고, 또 하고 싶어지는 미련한 사랑이에요.” (오민영)

이지영 연출에게 ‘아이다’는 귀하고 소중해, 늘 조심스러운 작품이었다. 그는 “성냥개비 수천 개를 쌓아 너무나 아름다운 탑을 만들어 몇 킬로를 걸어가야만 하는 작품”이라는 말로 ‘아이다’를 표현했다. “너무 아름답지만, 만들기도 어렵고, 성냥개비 하나 하나가 잘 붙어있어야 해요. 들고 가는 것도 엄청나게 조심해야 하는 작업이고요. 제게 ‘아이다’는 그런 작품이었어요. ‘아이다’를 통해 제 자신을 사랑하게 됐고, 살아갈 힘을 얻을 수 있었어요. 제가 잘해서가 아니라 무대의 마법 때문에요.” (이지영)

마지막 공연 이후 뭘 할 거냐고 물으니 장난기가 발동했다. “성냥개비 탑을 태워야죠.” (이지영) “장난은 불장난이지.”(문병권)

“웃으면서 떠나보내야겠죠. 끝이 있어야 새로운 시작도 있으니까요.” (이지영·문병권) 아쉬움의 뒤에 기다림이 묻어났다. 역시, ‘미련한 사랑’(오민영)이었다.

고승희 기자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