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국감에서는 광주미분양 7091호 ‘혼란’
얼어붙은 광주 주택시장 거래량도 줄었다
인구 142만이 채 안되는 광주광역시에서 34평 기준 8억 후반에서 10억원에 근접하는 고급아파트들이 잇따라 쏟아지면서 지역부동산에도 빨간불이 켜진 상태다. 사진은 광주중앙공원 풍암호수공원 야경. 서인주 기자 |
[헤럴드경제(광주)=서인주 기자] “광주미분양 아파트가 줄어들었다고” , “꽁꽁 얼어붙은 지역 부동산 현실을 고려하면 믿을 수 없는 수치같다”
지방부동산시장 침체와 민간공원아파트 공급과잉 등의 여파로 광주지역 체감 미분양이 증가하고 있지만 국토부가 31일 발표한 광주 미분양 주택수는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부동산 업계에서는 할인분양, 계약 조건변경 등 지역내 미분양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미분양 데이터’라는 지적이다.
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10월 광주 미분양 주택수는 1294호로 9월 1398호 보다 7.4%(104호)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악성’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수는 전달과 같은 416호로 조사됐다.
하지만 지난달 열린 국토교통부 국감에서 광주미분양 세대수는 7091세대로 알려졌다. 이는 최근 5년사이 14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정준호 의원이 HUG(주택도시보증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인데 비슷한 시기에 동일한 미분양 정보를 놓고 해석이 엇갈렸다.
자칫 왜곡된 미분양 주택 정보가 지역부동산 시장을 교란시키는 한편 내집마련을 위한 서민들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다.
광주의 경우 지난해 말부터 1만여세대의 민간공원특례사업 아파트 공급이 잇따라 쏟아졌다. 여기에 1000세대가 넘는 지역주택조합아파트, 재개발, 일반분양 신축공급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미분양이 속출하는 상황이다. 광주아파트 신축 분양가도 평당 2000만원에 근접하면서 새집을 원하지만 비용 부담으로 관망하는 수요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때문에 일부 분양현장에서는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1억원이 넘는 할인분양과 계약조건 변경, 발코니 무상혜택, 임대전환 등 치열한 마케팅 경쟁이 펼치고 있다.
광주 지역의 미분양 사업장과 세대수는 2019년 499세대에서 2024년 7091세대로 1321% 급증했다. 미분양 세대수는 대구가 9330세대로 가장 많았고 광주가 7091세대로 2번째로 많았다. 이어 부산 5958세대, 대전 4216세대, 울산 3366세대 순이었다.
미분양 세대의 급증은 건설 자재비 상승과 고물가 고유가 상황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부터 광주에서는 1만여세대가 넘는 민간공원아파트 등이 우후죽순격으로 공급되면서 체감미분양 물량이 급증하고 있다. 좀 자세한 내용은 서인주부장이 운영하는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면 된다. |
이와중에 광주지역 주택거래량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광주의 주택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1336건으로 전월보다 1.8% 줄었다. 하루평균 44호가 거래되는 상황이다. 전년 같은 달보다 9.3%, 5년 평균보다는 33.8% 감소했다. 전남은 1624건으로 전월보다 9.4%, 작년 같은달보다 3.4% 적었다.
광주의 9월 전·월세 거래량은 전월보다 5.8% 감소한 3592건이었고, 전남은 3186건이 신고됐다.
지난달 광주에서 인허가 받은 주택은 71호, 착공은 8호에 불과했고, 분양한 주택은 한 호도 없었다. 준공 된 주택은 589호였다.
지역부동산업계 한 관계자는 “국토부의 미분양 정보는 건설사들의 신고를 통해 집계되는데 이게 현실과 동떨어진 부분들이 많다” 면서 “미분양이 많다는 것은 결국 시장에서 외면을 받았다는 소리인데 건설사에는 치명적이다. 그래서 공개를 안하거나 왜곡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고 귀띔했다.
정준호 의원은 “HUG 의 분양보증사업장을 중심으로 미분양 세대가 급증하면서 건설업계의 자금난이 더욱 악화하고 있다. HUG가 감당할 수 없는 대규모 분양사고 발생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면서 “정부와 국토부는 중소건설사 보호 방안과 미분양 방지 대책을 등 선제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sij@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