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여름철 배추 생산자물가, 9년 간 매년 20%↑
10년 8월 평균 상승률 64.7%
이상기후 따른 물가폭등 고착화
서울의 한 대형 마트 채소·과일 코너에서 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

최근 9년 동안 여름철 배추 생산자물가가 매해 20%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채소와 과일 물가도 비슷한 흐름을 나타냈다.

매년 폭염에 대응한 정부 대책이 결과적으로 땜질에 그친 셈이다. 이상기후 현상이 앞으로 더 심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수입 강화 등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최근 10년 중 2015년(8.1%)을 제외한 매해 8월 배추 생산자물가지수는 최소 23.1% 이상 폭등했다. 2016년(123.3%)과 2023년(112.7%)은 한달만에 생산물가가 두배 이상 뛰기도 했다. 평균으로 따지면 최근 10년 8월 배추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64.7%를 기록했다. 여름철에 시작된 폭등은 김장철을 앞두고도 계속되는 경우가 많았다. 9월에도 최근 10년 중 7번은 배추 생산자물가가 20% 이상 올랐다. 2022년 9월엔 76.8%가 폭등하기도 했다.

올해도 마찬가지 모습이다. 배추 생산자물가는 7월(50.5%)부터 8월(73.0%), 9월(61.0%)까지 3개월 내리 폭등했다.

전반적인 채소와 과일 생산물가도 여름철 폭등세를 피하지 못해왔다. 최근 10년 동안 8월 채소및과실 생산자물가지수는 7번이나 10% 이상 뛰었다. 2020년에는 29.0%를 기록, 30%대에 육박했다. 평균은 16.7%에 달했다.

한은이 발표한 ‘이상기후가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1980∼2000년 시기보다 최근(2001~2023년) 들어 이상기후가 성장·물가 등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과 지속성이 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23년 이후 월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이상기후가 평균 10%가량을 차지했다.

한은은 ‘우리나라 물가 수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농산물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특히 높은 원인으로 낮은 생산성, 유통비용, 제한적 수입 등을 꼽았다. 농경지 부족과 영세한 영농 규모 등 탓에 생산 단가가 높은 데다 유통에도 비용이 많이 들고, 일부 과일·채소의 경우 수입을 통한 공급도 주요국과 비교해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정부는 매년 되풀이되는 여름철 배춧값 급등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에 연말 수급 안정대책을 발표하겠다고 답했다. 수급 조절을 위해 비축 기술을 향상하는 방법과 시설을 증축하는 방안 등이 골자가 될 전망이다. 수입 확대엔 아직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기후와 수급 상황에 따라 공급 상황이 시시각각 달라질 수 있다는 이유 때문이다.

홍태화 기자

th5@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