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가까스로 2%대 물가, 울퉁불퉁한 인플레 면밀 대응을

4월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 올랐다. 올해 1월 2.8%에서 2~3월 두 달 연속으로 3.1%대에 머물다가 석달 만에 3% 밑으로 내려간 것이다. 고물가를 이끌었던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폭이 축소된 영향이 컸다. 중동 정세 불안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으로 4월 물가상승률도 3%를 웃돌 수 있다는 관측도 있었지만 지난달 석유류 가격이 1년 전 보다 1.3% 오르는 데 그친 것도 작용했다.

최근 영국 경제 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낮은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등을 근거로 한국은 고물가 지속 가능성이 크게 낮다고 평가했는데 이에 부합되는 지표가 나온 것도 고무적이다. 지난달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2% 오르면서 전달(2.4%)보다 상승률이 낮아졌다. 이코노미스트는 근원인플레이션, 단위노동비용, 인플레이션 확산 수준, 기대 물가상승률, 구글 검색 행태 등 5개 지표를 통해 인플레이션 고착화 점수를 자체 산출해 분석했는데, 한국은 고소득 국가 10곳 중 두번째로 인플레이션 고착화 수준이 낮다고 평가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도 이를 인용하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가 빠르게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힌 바 있다.

물가가 마지노선인 2%대로 복귀했다지만 간신히 턱걸이한 수준이다. 아직 불안한 요소가 많아 마음을 놓을 때가 아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가 3.5% 상승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았지만 외식하기가 겁난다. 서울시내 냉면집에서 4인가족이 식사하면서 수육 하나만 추가해도 10만원에 육박한다. 특히 과일과 채소가 여전히 고공행진이다. 사과(80.8%)와 배(102.9%)를 중심으로 신선과실은 38.7% 상승하면서 3월(40.9%)에 이어 40% 안팎의 오름세를 유지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1일 ‘金과일’ 대책으로 중간유통마진을 낮추기 위해 온라인에 가락시장급 도매시장을 개설하는 등 유통구조 개선방안을 내놓았다. 낡은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대책은 필요하지만 최근 농산물 급등세는 기후 변화에 따른 작황 부진 등이 영향을 미친만큼 스마트팜 활성화, 수입확대 등의 정책도 병행해야 실효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1일(현지시간) 좀처럼 꺾이지 않는 물가와 고용시장 호조를 이유로 기준금리를 6연속 동결하면서 역대 최대(2%포인트)인 한국과의 금리 격차를 유지했다. 전문가들은 일러야 9~10월에나 연준이 첫 금리인하에 나설 것으로 내다본다. 우리로서는 중동리스크에 따른 유가불안에 1400원을 넘보는 원/달러 환율 등 물가 암초와 긴 싸움에 대비해야 한다는 의미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