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 달에 많게는 13번”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韓에서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 [인터뷰] 
솔리스트ㆍ교수ㆍ반주자 1인 3역
25일 독주회로 쇼팽ㆍ류재준 초연곡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는 한국에서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다. 협연, 솔로, 반주까지 한 달에 많게는 13번이나 무대에 오른다. [오푸스 제공]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하루 평균 수면 시간 6시간. 스케줄이 적은 날 기준, ‘수업 2시간, 연습 5시간, 산책과 휴식 시간’.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40)의 시계는 매일 정확히 움직인다.

“스케줄이 별로 없는 날도 6시간 이상 피아노를 치진 않아요. 육체적으로 한계가 있으니까요.”

협연, 솔로, 반주까지 한 달에 많게는 13번. 러시아 출신의 일리야 라쉬코프스키는 한국에서 가장 바쁜 피아니스트다. 이번 달에는 색소포니스트 브랜든 최와 한 무대에 섰고, 솔로 리사이틀(4월 25일, 예술의전당)도 앞두고 있다. 하루에 두 번 무대에 설 때도 있다. 오는 6월 29일엔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베를린 슈타츠카펠레 악장인 바이올리니스트 이지윤과 함께 하고, 오후 7시엔 부천아트센터에서 라프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개를 연주한다. 그를 만날 수 있는 시간도 리허설과 연주회 사이, 잠깐의 짬이 났을 때다.

최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만난 일리야 라쉬코프스키는 “피아노를 치는 일은 내게 에너지를 쓰는 해로운 일이 아니고 오히려 생기를 줘 건강에 좋다”며 웃었다.

그는 한국 클래식 음악계 ‘열일’의 아이콘이자, ‘반주왕’이다. 수많은 연주자들이 피아노 반주가 필요할 때 라쉬코프스키에게 S.O.S를 보낸다.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클라리넷, 색소폰 등 모든 악기를 섭렵하며 한 무대에 섰고, 심지어 솔리스트들의 음반 발매 간담회에서도 라쉬코프스키를 만나게 된다.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 소프라노 박혜상,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 등 쟁쟁한 솔리스트들이 그를 찾는다.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오푸스 제공]

이전엔 자신에게 찾아오는 모든 반주 요청을 승낙했다고 한다. 그는 “존 케이지(1912~1992)가 모든 기회가 주어졌을 때 잡으라는 말을 했다”며 “그들이 유명하지 않더라도 만약 내게 찾아온 기회를 거절한다면 특별한 경험을 잃었다는 생각에 후회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지금은 워낙 요청이 많아 개인 연주와 연습 시간을 고려해 선택하고 있다.

그의 반주 영역은 장르와 악기를 가리지 않는다. 관악, 현악, 성악을 아우른다. 무수히 많은 ‘반주 요청’ 중 압도적으로 많은 악기군은 바이올린. 가장 많이 연주한 곡은 세자르 프랑크의 바이올린 소나타다.

“각각의 악기와 연주자마다 성향이 다르고 곡에 접근하는 방식도 달라 서로의 음악을 잘 들어가며 연주하는 것이 중요해요. 너무 자연스럽지 않아도, 테크닉에 있어 기량이 부족해도 힘들긴 해요. 아예 다른 음으로 연주하는 경우는 난감하죠.(웃음) ”

라쉬코프스키는 현악기 중 첼로와의 만남을 ‘어려운 연주’로 꼽았다. 음역대가 낮은 데다 첼리스트의 등을 보고 연주해야 하기에 커뮤니케이션이 쉽지 않아서다.

그가 ‘반주왕’이 된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무수히 많은 무대에 오르면서도 ‘연주의 기복’ 없이, 한결같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게 그 비결이다. 적절한 ‘치고 빠지기’도 일품. 함께 하는 주인공을 돋보이게 하면서도, 자신을 적당히 드러내니 모두가 원할 수 밖에 없다. 성격 역시 까다롭지 않다. 그는 “처음 반주를 할 때는 내가 생각한 방향과 상대가 해석한 방향이 달라 맞춰가는 것이 힘들었는데, 이젠 연주자들에게 맞춰 그들과 함께 호흡하고, 그들이 편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한다”고 귀띔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연주자가 즐겨야 관객도 즐길 수 있다는 거예요. 두 사람이 하든, 세 사람이 하든 서로 즐기며 하나가 돼 연주하도록 하는 것이 반주자의 덕목이에요.”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 [오푸스 제공]

솔리스트로 무대에 오르는 이번 공연에선 라벨, 쇼팽, 류재준의 초연 곡으로 관객과 만난다. 특히 류재준 작곡가의 인연은 특별하다. 2011년부터 류재준의 피아노협주곡, 피아노 소나타, 애가 등의 작품을 연주해 온 것. 2017년부턴 성신여대에 출강하며 한국에 머물고 있다. 그는 류재준에 대해 “집 열쇠도 줄 만큼 가까운 가족 같은 친구”라고 했다.

공연에서 연주할 류재준의 ‘피아노 모음곡 2번’은 그가 2020년 발표한 2인 가극 ‘아파트’에서 발췌해 구성한 모음곡이다. 라쉬코프스키는 “류재준의 곡은 그만의 특성과 문법이 담겨 쉽게 알아볼 수 있다”며 “바흐의 영향이 많이 느껴지는 곡“이라고 말했다. 류재준의 난곡과 어우러질 곡은 쇼팽이다. 그는 쇼팽의 ‘24개 프렐류드’에 대해 “바흐에 감명을 받아 쓴 작품이라는 점에서 류재준의 곡과 연결되는 지점이 있다”고 봤다.

반주자로서 여러 연주자와 함께 할 때와 피아니스트로 홀로 무대에 설 때의 그는 같지만 다른 자아다. 그는 “피아니스트로 연주할 때는 불안하고 초조한 감정을 가진다”고 말했다. 암보 연주가 ‘관행’이기 때문이다. 이에 하나의 곡을 온전히 체화하기 위한 준비 과정을 거치고 매 공연 긴장하며 기다린다. 물론 페이지 터너와 함께할 때도 있다. 그는 “페이지 터너는 가장 가까운 청중”이라며 “그를 위해 연주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함께 한다”고 말했다.

일 년에 무려 70여회. 한국의 클래식 연주회에서 가장 많이 눈에 띄는 라쉬코프스키의 삶은 온전히 음악으로 채워져 있다. 피아노를 치지 않을 때도 악보를 분석하고, 음악을 듣고, 끊임없이 공부하며 영감을 충전한다. 그는 철저히 ‘현재형 인간’이다.

“전 늘 그리 먼 미래를 계획하진 않아요. 지금 이 상태가 좋아요. 이 곳에서의 삶과 일에 만족하고 있어요. (웃음)”

shee@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