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고삐 풀린 물가, 여야가 머리 맞대야 근본 해법 나온다

물가가 여전히 고삐 풀린 모습이다. 지난달에도 농림수산품과 공산품 가격이 모두 치솟았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122.21)보다 0.2% 높은 122.46(2015년=100)으로 집계됐다. 전월 대비로는 넉 달 연속 오름세가 이어지고 있다.

주목되는 것은 농림수산품이 1.3%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배추(36.0%), 양파(18.9%), 돼지고기(11.9%), 김(19.8%) 등의 상승률이 눈에 띄게 두드러졌다. ‘금사과’는 2.8% 상승에 그치며 주춤하기는 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두 배가 훨씬 넘는 135.8% 올랐다. 농수산물과 축산물 등 품목 값이 오르면 그만큼 서민들의 살림살이는 힘겨워질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아도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 상승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이다. 지난 2월 기준 관련 물가 상승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가운데 튀르기예와 아이슬란드에 이어 세 번째로 높다. 과일과 채소 가격만 따지면 세계 최고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치솟는 먹거리 물가에 국민들은 숨이 막힐 지경이다.

물가 관리는 민생과 직결된 사안이기에 모든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있어야 한다. 지난 총선에서 집권 여당이 크게 패한 것은 결국 물가 관리를 잘못했기 때문이다. 실제 총선 투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묻는 설문에 ‘물가 등 민생 현안’(30%)이라는 응답이 단연 높았다. ‘정부 여당 심판’(20%), ‘막말 등 후보자 논란’(11%), ‘야당 심판’(10%), ‘의대 정원 증원’(8%) 등이 이슈가 되기는 했지만 먹고 사는 문제보다 우선일 수는 없었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번 달을 고비로 물가가 점차 안정을 되찾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지만 사정은 그리 녹록해 보이지 않는다. 당장 이스라엘의 이란 보복 공격으로 중동 긴장이 더 고조되고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연일 위협하는 상황이다. 달러 강세로 수입 원가가 올라가면 물가는 더 치명적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식량 자급률이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우리로선 타격이 더 클 수밖에 없다.

정부도 물가 잡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관련 부처 합동회의를 여는가 하면 긴급안정자금을 풀어 농수산물 소비자 가격 안정에도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재정을 투입해 물가를 잡겠다는 발상은 대증요법에 불과할 뿐이다. 정확한 진단과 관리 방안을 면밀히 파악하고 근본적인 처방을 마련해야 한다. 특히 농산물 유통 구조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물론 정부의 노력만으로 힘들다. 여야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고물가 쓰나미를 넘을 방안을 찾아야 한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