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우울증 학생 25만명...실효적 대책 시급하다

2022년 한 해 정신 병원에 입원한 1020세대가 1만6819명으로 전체 입원자의 22.2%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상반기에만 1만1016명이 폐쇄 병동에 들어가 증가 속도도 가파르다. 2022년 자해·자살로 응급실에 간 환자 4만3268명 중 1만9972명(46.2%)이 10대와 20대라는 통계도 있다. 한마디로 대한민국 청소년· 청년이 병들어가고 있다는 얘기다.

학교 현장은 심각하다. 교육부가 지난해 초 1·4, 중1, 고1 등 4개 학년 173만159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심리 검사 결과를 보면 2만2838명이 ‘자살 위험군’으로 분류됐다. 상담·치료가 필요한 ‘관심군 학생’도 8만2614명이다. 초·중·고 12개 학년으로 환산하면 자살 위험군은 7만명, 관심군은 25만명이 치료 대상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이 마저도 정확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초중고교 현장에서 이뤄지는 검사과정 자체가 형식적이어서 제대로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실제 검사과정에서 학생들이 답변을 회피하면 알 수 없고 심지어 초등학생은 부모가 대신 작성하고 있다. 이런 상태에서는 학생들의 정신 건강을 제대로 파악하기가 힘들다.

검사만 문제가 아니다. 일선 상담 인프라도 턱없이 모자란다. 전문상담교사가 학교 2곳당 1명 꼴로 아예 교사가 없는 곳도 있다. 그나마 상담 교사도 학교 폭력에 대응하느라 사실상 손을 놓고 있는 상태인 경우가 많다. 조기발견이 어려워 치료가 늦어지고 점점 심각한 상태가 되는 악순환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청소년 범죄가 늘어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정신장애를 가진 미성년자 범죄자 수는 2018년 345명에서 2022년 511명으로 4년 새 48.1%나 늘었다. 배현진 의원 피습사건의 학생도 초등학생 시절부터 정서·행동 문제를 일으켰지만 적절한 조치를 받지 못했다고 한다.

청소년 정신 건강은 조기발견과 치료에 따라 예후가 크게 달라지는 만큼 학교 내 정신건강 관리 체계 정비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 보다 정교한 검사와 교실내 사회성 통합교육, 위험군과 관리군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의와의 연계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마음의 병을 사춘기 때 누구나 겪는 일 정도로 치부하는 학부모 인식도 바꿔야 치료 길이 열린다.

청소년 우울증의 이유는 친구간 따돌림, 성적 지상주의, SNS 영향 등 다양하다. 사회적인 문제를 일거에 해결하기는 어려운 현실에서 중요한 것은 마음의 근육을 키워주는 것이다. 미국 작가 마크 맨슨이 한국을 여행하고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라면서도 높은 회복탄력성에 주목한 점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