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3%대 초반 내려온 물가, 체감물가와 괴리 좁히기 큰 과제

물가상승률이 4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3%대 초반까지 떨어졌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3.3% 올랐다. 지난 2021년 10월(3.2%) 이후 19개월 만의 가장 낮은 수치다.

지난해 7월 6.3%까지 치솟았던 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 5.2%를 기록한 뒤 2월 4.8%, 3월 4.2%, 4월 3.7%를 기록하며 둔화하고 있다. 석유류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전체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이는 양상이다. 작년 상반기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른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가 4.3% 올라 전월(4.6%)보다 상승폭이 감소한 것도 고무적이다.

하지만 ‘런치플레이션’이란 말이 상징하듯 지수와 체감물가와 괴리는 여전히 멀기만 하다. 정부가 이 간격을 좁히려 애를 쓰고 있기는 하다. 가계의 먹거리 부담을 낮추기 위해 이달부터 돼지고기·고등어 등 7개 농·축·수산물에 할당관세율 0%를 적용하기로 했다. 식품 원재료로 쓰이는 설탕도 할당관세율을 0%로 낮추고 소주 등 원료로 사용되는 조주정에도 이를 적용키로 했다. 할당관세는 일정 기간 일정 물량의 수입물품에 대해 관세율을 일시적으로 낮추거나 높이는 제도로, 관세가 낮아지면 그만큼 수입 가격이 낮아진다. 외식 가격이 지난달 6.9% 상승하면서 물가를 0.90%포인트 끌어올린 것을 고려하면 어느 정도의 효과는 볼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국제유가, 곡물 가격 등 원자재 가격이 올랐다는 이유로 제품가격을 크게 올렸던 식품기업들이 최근 원자잿값 하락세는 가격에 반영하지 않고 있어 체감물가가 내려올 줄 모른다는 점이다. 밀은 1년 전보다 40% 이상, 옥수수와 대두 등도 20%가량 내렸지만 한 번 오른 식품 가격은 요지부동이다. 물가가 3%대 초반대로 내려왔다지만 가공식품 물가상승률은 7.3%로,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가뜩이나 전기·가스요금 인상, 교통요금 인상, 무역수지 적자에 따른 환율 상승 등 하반기 물가를 자극할 요인이 산적한 상황이다. 지난달 전기·가스·수도 요금은 23.2% 올라 두 달 연속 20%대 급등세를 이어갔다. 시멘트업계는 지난해 33%에 이어 7월부터 14.1%의 추가 인상을 예고했다. 시멘트 원료인 유연탄 가격은 하락했지만 전기요금 인상에다 원화값 하락에 따른 환율 부담이 커져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가계가 체감하는 물가가 내려가지 않으면 실질 소득 감소에 따른 소비 부진으로 경기 회복은 더 멀어진다. 물가안정에 찬물을 끼얹는 담합이나 편법 가격 인상 등 불공정행위를 예의주시하고 적극 대응해야 하는 이유다.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