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딩판 스카이캐슬’이라고 불리는 ‘그린마더스클럽’이라는 드라마가 학부모 사이에서 최근 인기다.
몇 해 전 장안의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드라마 ‘스카이캐슬’은 상당수에게는 충격을, 또 다른 상당수에게는 ‘이미 알 만한 사람들은 다 안다’라는 묘한 공감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초등학생을 키우는 엄마로서, 아이들의 행복과 출발선의 공정을 보장하는 것이 건강한 사회에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가치라고 생각하는 연구자로서는 요즘 여러 생각이 스쳐간다.
드라마 속 아이들은 선행학습, 톱(top)반 1등, 학원 레테(레벨테스트) 등에 목숨을 건다. 아니, 엄마들이 만들어 놓은 공간에서 그렇게 주입된다. 극 중 유빈이는 1등 자리를 빼앗김에 따른 극심한 스트레스로 아이들과의 갈등을 조장하며, 엄마들은 내 아이의 성적에 따라 그룹을 형성한다. 처음에는 초등학생들의 치열한 공부 경쟁을 혐오했던 동석 엄마도 자신의 아이가 영재 판정을 받자 다양한 방법으로 ‘엄마들 커뮤니티’에 진입하여 본인의 입지를 굳혀간다.
물론 드라마이기에 과장된 측면은 있다. 하지만 지금의 우리가 많은 생각을 해봐야 하는 몇몇 지점이 존재한다. 무조건 경쟁에 이기기 위해 잘못된 거짓말을 한 아이를 사람들의 비난에서 보호하기 위하여 눈감아주는 엄마, 초등학생인 아이들을 ‘성적별로 계급화’시키고 ‘성적별로 분리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는 모습. 우리 주변에서 흔히 일어나고 있는 모습일지도 모른다.
새 정부가 들어서고 또 한 번 교육개혁을 논의하게 될 것이다. 이번 정부의 교육개혁은 4차 산업혁명 인재 양성, 스마트교육 확산 등의 내용도 중요하겠지만 그 무엇보다도 ‘공정한 경쟁이 보장되는’ ‘부모의 권력으로 결과가 좌우되지 않는’ ‘1등만이 대우받지 않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철학적 방향성을 잡아야 한다. 국민이 무엇에 분노하고, 청년들이 무엇에 좌절하는지에 대하여 이미 지난 정권, 지지난 정권을 통하여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졌다고 본다.
그럼에도 1등이 주목받는 사회적 분위기가 쉽게 바뀌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부모들이 앞장서서 사교육에 매몰되어 1등을 강요할 수밖에 없는 교육 환경을 조장해서는 안 된다. 아이들에 대한 지원은 본인의 개성과 장점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지를 보이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러한 부모의 역할만으로도 향후 아이들이 사회에서 자리 잡을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개혁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소위 ‘돈이 발휘하는 힘’을 초등학교 때부터 경험한 아이들에게 공정이라는 것을 어떻게 이야기해야 할지 참 우려스럽다.
엄마의 열정과 자본의 힘이 실력을 담보하는 사회보다는 아이들이 스스로 결정하고 생각할 수 있는 기초 체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이 일상이 되는 사회가 답이다. ‘그린마더스클럽 속 상위동키즈’들만이 사회지도층으로 성장하여 그들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공정과 상식 등을 논한다는 것은 자기모순이다. 물론 자본 능력이 개인의 선택을 가로막아도, 부모의 무관심으로 배제당하는 아이를 국가가 방치하는 것도 옳지 않다. 그러나 부모의 모든 역할이 아이의 성적 관리를 위한 목표 달성에 집중된다는 것, 아이가 부모의 선택에 따라 아동기를 보낸다는 사실은 생각만으로도 너무 서글프다.
이윤진 서원대 사회복지학부 교수
kwater@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