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엔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하는데, 요즘은 3년이면 변하는 것 같습니다.” 얼마 전 만난 한 기업인은 급변하는 산업생태계를 이렇게 비유했다. 업종을 불문하고 변화의 속도가 빨라졌다. 하나의 산업에서 성공하더라도 경쟁 우위의 지속력이 오래가지 않는다. 빠른 추격자들의 등장 외에도 아예 ‘업(業)의 판’이 바뀌어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기업이 한 우물만 파는 시대는 끝났다. 우물이 아니라 아예 물을 구하는 다른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살아남는다. 스마트폰의 등장은 피처폰 시대를 마감시켰다. 이젠 전기차가 내연기관차의 종말을 불러올 수도 있다. 문제는 이 같은 변화의 흐름을 어떻게 예측하고, 대응할 것이냐는 것이다. 알아내고 실행하고 성공해야 한다. 이 삼박자가 딱딱 맞아떨어져야 한다. 기업 입장에서는 생존과도 직결된다. 기업의 번영은 국민과 국가의 먹거리와도 이어진다.
이런 점에서 국내 기업은 글로벌 경쟁 기업에 비해 노력을 더 배가해야 한다. 안타깝지만 한국이라는 특수성 때문이다. 내수시장은 좁다. 수출로 먹고살아야 한다. 과거 우리나라가 속했던 개발도상국에 대한 배려(?)는 사라졌다. 오히려 자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친소관계를 따져 혜택과 불이익을 준다. 미·중 갈등이 대표적이다.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렵다. 하지만 우린 대외변수에 취약하다. 미국이 기침하면 감기가 든다. 요즘은 이런 기침이 봇물 터지듯 한다. 환율·금리·유가는 국제정세에 따라 요동친다. 선진국은 자국산업보호로 돌아섰다. 반도체, 배터리, 자동차를 앞세워 전쟁에 나서고 있다.
삼성, 현대차, SK, LG, 포스코 등은 대표적인 국내 경제 전사들이다. 하지만 이들은 각자도생이다. 기업을 뛰지 못하게 하는 각종 모래주머니가 한둘이 아니다. 과잉입법이 대표적이다. 2020년 5월 시작한 21대 국회들어 산자위, 환노위에서 의원입법을 통해 발의된 기업규제만 600개가 넘는다. 제대로 된 입법 영향 분석이 없는 이런 규제가 남발하다보니, 지난해 국내 기업이 그냥 쌓아둔 현금자산만 900조원에 이른다.
새 정부가 글로벌 시장에서 기업이 뛸 수 있도록 모래주머니를 벗겨주겠다고 했다. 문제는 속도다. 빛의 속도로 빠른 변화에 맞추지 않으면 ‘각주구검(刻舟求劍)’이다. 석가탄신일을 앞두고 기업인 특별사면 이야기가 나온다. 작년 8월부터 300여일 가까이 가석방 신세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대표적이다. 매주 재판을 받다보니 주요 경영활동은 불가능하다. 책임경영의 전제인 등기임원도 맡을 수 없어 사실상 리더십 부재나 마찬가지다. 현 정부에서 적폐청산이라는 이름 아래에 힘들었던 다른 기업인도 많다. 마침 청와대에서도 특별사면을 고려 중이라고 한다. 떠나는 대통령도 관용의 모습을 보이는 게 재계는 물론 국민통합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경제는 타이밍이다. 중요한 순간을 놓쳐버리면 따라잡기가 쉽지 않다. 각 산업에서 중국 등 추격자와의 거리는 좁혀졌고, 미국 등 선진국과의 격차는 더 벌어지고 있다.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그 변화를 경쟁 국가의 기업들이 주도하는 모습을 물끄러미 보고 있을 수만은 없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우리 기업과 기업인도 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체할 시간이 없다.
happyday@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