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2200년 전 한반도에서 이주해간 농민들에 의해 일본의 다수 방언이 형성됐다는 주장을 담은 연구 논문이 4일 공개됐다.
도쿄대학의 션 리와 하세가마 도시카쓰는 영국왕립학회보B(the journal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에 실은 논문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일본어 가운데 오랜 기간 변화를 거치지 않고 보존된 동사, 숫자, 명사등 단어 210개를 뽑은 뒤 59개 방언에서 그에 해당하는 단어를 찾아 컴퓨터로 비교한 결과, 표본으로 삼은 단어들이 약 2182년 전의 같은 조상에게서 내려왔음을 발견했다. 이 시기는 한반도에서 대거 이주민 유입이 있었던때와 일치한다.
이번 연구는 현대 일본어의 기원이 한반도를 포함한 ‘일본 열도 외부’라는 학설에 힘을 실은 것으로 평가된다.
그 동안 학계에서는 일본어의 기원과 관련 자생설과 외부 유입설이 맞서왔다.
자생설은 1만2000~3만년 전 일본에 원주민이 살고 있었으며, 현재의 일본어와 일본인은 수렵·채집에 기반한 그 당시 원주민에게서 직접 내려왔다는 주장이 있다. 기원전 200년을 전후해 아시아 대륙으로부터 이주민 유입이 있었지만 쌀과 농업기술을 전파했을 뿐 언어의 발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외부유입설은 한반도 출신 이주민들이 원주민 언어를 대체하거나 상실케 만들었다는 학설이다. 최근 고고학계 연구결과와 유전자를 통한 연구 결과는 대체로 후자의 이론을 지지하는 추세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역사상 농업의 전파가 언어의 다양화에 주된 동력이었다는 이론을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이번 연구는 일본이 수렵·채집 사회에서 농경사회로 전환하기까지 의도적으로 시간을 끌었던 정황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이것이 고대 일본인들이 ‘착취’가 불가피한 농경문화로 이전하길 거부하며 조화로운 삶을 추구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추정했다.
헤럴드생생뉴스/online@heraldcorp.com